자세히보기 2014년 9월 1일 0

이달의 인물 | 한국 청년을 정예병사로 길러낸 광복군지대장 2014년 9월호

이달의 인물 | 독립운동가 나월환
한국 청년을 정예병사로 길러낸 광복군지대장

전남 나주 금성산에 위치한 나월환 장군 동상

전남 나주 금성산에 위치한 나월환 장군 동상

국가보훈처는 광복회 · 독립기념관과 공동으로 한국청년전지공작대 대장 및 한국광복군 제5지대장으로 활동한 나월환(1912.10.14.~1942.3.1) 선생을 9월의 독립운동가로 선정하였다.

나월환 선생은 전남 나주 출신으로 인천공립보통학교 졸업 후 일본에서 유학하였다. 중국으로 건너간 선생은 상해 중국중앙육군군관학교 졸업 후 중국 헌병학교 및 군관학교 교수를 거쳐 중국군 헌병장교로 복무하였다.

선생은 1939년 11월 아나키즘에 참여한 인사들과 한국청년전지공작대를 결성하였다. 일본군 점령지역 내 한인청년들을

대상으로 항일전선에 참여토록 선전 · 심리전을 전개하였으며, 중국 군민을 대상으로 한 연극공연으로 한 · 중 공동 항일유대를 강화토록 하는 데 크게 기여하였다.

나월환 선생은 일부 대원들의 반대에도 불구하고 1941년 1월 1일 한국청년전지공작대 대원을 이끌고 한국광복군 제5지대로 합류하여 초모 · 선전 · 첩보 · 유격전을 전개하였다. 특히 중국 내 일본군 점령지역에 침투, 반일사상을 고취시켜 한인청년을 모집하는 등 광복군의 인적토대를 확충하였다.

또한 한국청년훈련반을 운영해 모집된 한인청년을 정예병사로 훈련시켰다. 그 결과 공작대 결성 당시 28명이던 대원수가 1940년 말에 100여 명에 이를 정도로 확대되었다. 그러나 전지공작대의 광복군 편입 과정에서 대원들과의 갈등을 극복하지 못한 선생은 1942년 3월 1일 짧은 생을 마감하였다. 이에 정부는 1963년 선생에게 건국훈장 독립장을 추서하였다.

국가보훈처는 조국의 독립을 위해 헌신한 나월환 선생의 뜻을 기려 9월 24일 서울 백범김구기념관에서 공훈선양 학술강연회를 개최할 예정이다. 또한 9월 한 달간 천안 독립기념관과 서울 서대문형무소역사관에서 선생의 생애와 독립운동 활동을 담은 기획사진을 전시할 계획이다.

나월환 선생은 1941년 1월 1일 한국청년전자공작대 대원을 이끌고 한국광복군 제5지대로 합류하여 초모 · 선전 · 첩보 · 유격전을 전개하였다. 특히 중국 내 일본군 점령지역에 침투, 반일사상을 고취시켜 한인청년을 모집하는 등 광복군의 인적토대를 확충하였다.



댓글 0개

의견을 남겨주세요

댓글을 달기 위해서는 로그인 해야 합니다.

좋아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