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세히보기 2016년 9월 1일 4

이달의 인물 | 나중소,김동석 2016년 9월호

이달의 인물 | 나중소,김동석

수백 명 독립군을 양성한 독립투사, 나중소

국가보훈처는 광복회, 독립기념관과 공동으로 청산리대첩에서 활약한 나중소 장군(음력 1867. 4. 13.~1928. 8. 18.)을 2016년 9월의 독립운동가로 선정하였다. 선생은 16세에 무과에 급제한 후 대한제국 무관학교에서 수학하였다. 대한제국 진위대 부위로 재직 중 일제에 의해 군대가 강제로 해산 당하자 만주로 망명하여 대한군정서(북로군정서) 등에서 무장투쟁을 벌였다. 1919년 3월, 선생은 북간도 왕청현에서 대종교인을 중심으로 조직된 대한정의단의 교관으로 초빙되어 수백 명의 무장 독립군을 양성하였으며, 같은 해 10월 북로군정서로 개편되자 참모부장에 임명되어 사령관 김좌진을 보좌하며 부대를 이끌었다. 선생은 북로군정서군의 사관연성소 교수부장으로 300여 명의 독립군 사관을 양성하였으며, 연성대 대장으로 청산리대첩에 참전하여 백운평과 천수평 전투에서 일본군을 크게 무찔렀다 .

청산리대첩 후 선생은 북간도를 거쳐 러시아 이만 지역으로 이동하여 1921년 4월 36개 독립군 단체들이 모여 결성한 대한독립단 참모로 선임되었다. 그러나 1921년 6월 자유시참변이 일어나자 선생은 북만주로 돌아왔다. 1922년  1월 안도현 군인양성소 사령관에 임명되어 국내진공작전을 추진하였으며, 같은 해 8월에는 9개 독립군 단체들의 군사통일체로 대한독립단을 재건하고 전 만주 독립군 단체들의 통합을 추진하였다. 그 결과 1924년 3월 대한군정서가  재조직되었고, 선생은 서무부장 겸 참모에 임명되었다. 1925년 9월에는 신민부와 정의부의 연합부대에서 간도의 훈춘, 장백 및 함경도 등을 관할하는 서남로향관에 임명되었다. 선생은 1928년 8월 신민부 지방조직을 설치하던 중 돈화현 산중에서 숨을 거두었다. 정부는 독립군 양성과 청산리대첩에서 무장투쟁을 벌인 나중소 장군에게 1963년 건국훈장 독립장을 추서하였다.

김동석 대령, 숨겨진 국군 정보작전 능력자

국가보훈처는 김동석 육군 대령을 2016년 9월의 6·25전쟁 호국영웅으로 선정하였다. 김동석은 1948년 12월 육군사관학교 8기로 입교하여 1949년 졸업과 동시에 소위로 임관, 수도경비사령부 제17연대 11중대장으로 임명되었다. 1950년 한국전쟁이 발발하자 북한군 제15사단 45연대와의 화령장 전투에서 혁혁한 공적을 세워 전 연대원이 1계급 특진의 영광을 누리는 데 결정적인 역할을 하였다. 1950년 9월 김동석 대령은 미8군 정보연락장교로 파견되어 서울 탈환작전을 위한 첩보업무를 담당하였다.

이후 육군첩보부대 지구대장을 역임하는 등 수많은 전공을 세웠으나 첩보부대 특성상 그가 세운 공적은 좀처럼 알려질 수가 없었다. 매사에 성실하면서도 투철했던 그가 수집한 적 군의 핵심 정보는 맥아더 장군에게 직접 전달되어 아군의 서울 탈환과 북진 작전에 커다란 영향을 미친 것으로 알려져 있다. 맥아더 장군에게 “디스 맨(This man)”이라는 별칭을 받을 정도로 신임을 얻었던 그는 유엔군 내에서 한국군의 정보작전 능력을 인정받는 개가를 올렸다. 2002년 미국 정부는 김동석 대령의 알려지지 않은 전쟁 중의 공적을 인정하여 ‘전쟁영웅’ 칭호를 부여하였다



댓글 0개

의견을 남겨주세요

댓글을 달기 위해서는 로그인 해야 합니다.

좋아요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