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달의 인물 | 나운규, 강삼수 2016년 10월호
이달의 인물
미디어로 민족의식 고취 … 영화감독 나운규
국가보훈처(처장 박승춘)는 광복회, 독립기념관과 공동으로 민족주의 성향이 강한 영화 <아리랑>을 제작한 독립군 출신 영화감독 나운규 선생(음력 1902. 10.27.~1937. 8. 9.)을 2016년 10월의 독립운동가로 선정하였다. 선생은 함북 회령 출신으로 회령보통학교를 졸업한 후 간도의 명동중학에서 수학하였다. 1919년 3월 함북 회령에서 만세운동에 참여하다 일경의 수배를 받게 되자 연해주를 거쳐 북간도로 이동하였다. 1920년 선생은 훈춘에서 대한국민회 한순범 등과 함께 일제 나남 사단본부와 회령 수비대를 연결하는 교통의 요충인 청회선 철도 파괴와 통신선 절단 계획에 참여하는 등 독립군으로 활동하였으며, 청산리 인근에서 독립군 훈련을 받기도 하였다. 그러나 일제는 청회선 철도 파괴 계획에 대한 비밀문서를 입수하고 선생을 비롯한 관련자들을 체포했다. 1921년 3월 선생은 보안법 위반으로 2년 형을 언도받고 옥고를 치렀다. 출소 후 회령에 머물던 선생은 1924년 1월 극단 예림회에 가입하여 연극배우로 활동하였다. 이후 부산의 조선키네마주식회사 연구생으로 입사하였고, 윤백남의 백남프로덕션에서 <심청전>의 심봉사 역을 맡아 연기하였다. 1926년 선생은 민족주의적 성향이 강한 영화 <아리랑>을 제작하여 당대의 현실 문제를 이야기하였고, 일약 조선영화계를 대표하는 인물로 주목받았다. 이어 <풍운아>, <잘있거라>, <사랑을 찾아서> 등을 제작하였는데, 특히 <사랑을 찾아서>는 원래 제목이 <두만강을 건너서>였으나 일제의 검열 때 문제가 되어 제목을 바꾸어야 했던 작품으로, 독립군으로 활약하던 시기의 경험을 토대로 제작하였다. 선생은 1937년 8월 9일 폐병 악화로 인해 향년 36세로 사망했으며 영결식은 <아리랑>이 개봉되었던 단성사에서 열렸다. 선생은 칠흑같이 어두운 시대에 영화를 통해 조선인 관객들을 울고 웃게 하면서 민족의식을 고취시켰다. 선생의 영화에는 독립에 대한 열망과 이를 위한 실천이 깔려 있었다. 1993년 정부는 선생에게 애국장을 추서하였다.
강삼수 경위, 지리산 전투의 필승 신화를 쓰다
1948년 4월 순경으로 채용된 강삼수는 사찰유격대장으로 임명 받고 경찰관으로서 주민과 지리산을 지켜내는 데 커다란 공을 세웠다. 강삼수의 부대는 10명 내외의 적은 인원임에도 주변 산세의 지형지물과 지리를 철저히 활용해 지속적인 승리를 거두었다. 이러한 전공으로 인해 강삼수와 그의 부대는 ‘지리산의 귀신’으로 불리기도 했다. 총 62회의 크고 작은 전투를 승리로 이끈 그의 부대는 열악한 환경 속에서도 굴하지 않고, 필승의 신화를 이어갔다. 국군의 정예병력 못지않은 혁혁한 전공을 세운 강삼수와 그의 부대로 인해 지리산은 점차 안정을 되찾을 수 있었다.
댓글 0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