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세히보기 2016년 11월 1일 0

외신의 창 | “그녀는 탈북한 후 … 다시 도망쳤다” 2016년 11월호

외신의 창 <The Washington Post> October 18, 2016. By Anna Fifield

She fled North Korea and turned to online

sex work. Then she escaped again.

그녀는 탈북한 후 다시 도망쳤다.”

Watching through a smartphone, the men would ask the women, some of the thousands of North Koreans sold to Chinese husbands and living secretly to perform sex acts. Most of the time, the women did as requested. They needed the money — even if it amounted to only a few dollars a day.

스마트폰을 보며 남성이 여성에게 성적 행위를 하라고 요구한다. 이 여성들은 중국인 남편에게 팔려와 비밀리에 살고 있는 수천 명의 북한 여성들이다. 대부분의 경우 이들은 요구받은 대로 행한다. 그녀들은 돈이 필요하다. 하루에 몇 달러밖에 안 되는 돈일지라도.

Most are women considered down-and-out even by North Korean standards, and face an extremely precarious life in northeastern China. Many had been sold thinking life couldn’t get any worse. Since Kim Jong Un took control of North Korea, security has been tightened, and it has become increasingly difficult to escape.

대부분은 북한 기준으로도 빈털터리 축에 속했던 여성이며, 중국 북동부에서 극도로 불안정한 생활에 직면해 있다. 많은 여성들은 삶이 이보다 더 최악일 수는 없다는 생각을 하며 팔려왔다.

“These North Korean women in China faced a dire dilemma, either having to remain hidden and submit to this kind of sexual exploitation, or risk working outside of their residence with the very real possibility that Chinese authorities could arrest them at any time and force them back to North Korea,” said Phil Robertson of Human Rights Watch.

국제인권감시기구인 Human Rights Watch의 Phil Robertson은 “중국에 머무는 북한 여성들은 지독한 딜레마에 직면한다. 숨어 지내며 성적 착취를 감내하든지, 밖에서 일하다가 중국 당국이 언제든 체포해서 북한으로 돌려보낼 현실적인 위험을 무릅쓰든지.”라고 전했다.

Although some women take the risk of working outside the home, shuttling between cleaning and babysitting jobs or working in restaurants, an increasing number feel they have no choice but to try to make money behind closed doors. That is where video chatting comes in. About one-fifth of the North Korean women living in hiding in China are involved in this kind of online sex work.

몇몇은 청소도우미, 유아도우미, 식당종업원 등 밖에서 일하는 위험을 감수하지만, 점점 더 많은 여성들이 동영상 채팅이 이루어지는 방 안에서 돈을 버는 것 외에 다른 선택의 여지가 없다고 느낀다. 중국에 숨어 사는 북한 여성 중 1/5은 이러한 종류의 온라인 성매매에 연루되어 있다.

For the second time in their lives, they escaped, this time to a safe house in northern China, and from there they made the journey to the border, then walked to Laos. The relief of being out of China had washed over the women, and the challenges ahead loomed. “I have no passport, no papers, nothing, Why are our lives so different, just because of where we are born?”

인생에서 두 번째로 그녀들은 도망쳤다. 이번에는 중국 북부의 안전한 집에서 국경 지대로, 그리고 라오스로. 중국에서 벗어났다는 안도감이 밀려왔으나 곧 도전을 마주하게 되었다. “저는 여권도 없고 서류도 없고 아무것도 없어요. 왜 우리는 태어난 나라 때문에 이렇게나 다른 삶을 살아야 하나요?”

김가나 / 평화문제연구소 연구원



댓글 0개

의견을 남겨주세요

댓글을 달기 위해서는 로그인 해야 합니다.

좋아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