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세히보기 2016년 12월 1일 0

이달의 인물 | 최수봉, 제임스 R. 스톤 2016년 12월호

이달의 인물

최수봉 의사, 일제에 항거해 무력투쟁 나서다

국가보훈처(처장 박승춘)는 광복회, 독립기념관과 공동으로 밀양경찰서에 폭탄을 투척한 최수봉(崔壽鳳, 1894~1921) 의사를 2016년 12월의 독립운동가로 선정하였다. 선생은 1894년 경남 밀양의 빈한한 농가에서 태어났다. 향리의 개량서당을 다니면서 한문과 유교적 가르침을 익히고 신지식도 섭렵하였다. 그 후 김원봉과 함께 밀양공보를 다니던 중 단군이 일본 대화족(大和族) 시조의 아우라고 주장한 일본인 교사에게 항의했다는 이유로 퇴학당하였다.

선생은 1910년 사립 동화(同和)학교에 편입하여 김대지 등 독립운동가의 가르침을 받으며 조국애와 항일의식을 키워갔다. 1912년에는 범어사가 운영하는 부산 명정학교에, 1913년에는 기독교 계통의 평양 숭실학교에 다녔다. 1916년 평안도에서 광부와 우편배달부 생활을 한 후 독립운동의 주요 거점인 봉천(현재 선양)과 안동(현재 단둥)을 왕래하며 동지를 규합하였다.

1920년 의열단이 제1차 국내 일제기관 총공격 거사 계획을 세우고 폭탄을 밀반입하다 일제 경찰에 적발되어 여러 단원들이 체포되자 선생은 이종암 등과 식민통치의 폭압기구에 폭탄 투척 거사를 계획하였다. 1920년 12월 27일 월요일 아침 경찰서장이 연말연시 특별 경계를 당부하는 훈시를 하던 틈을 타 밀양경찰서에 폭탄을 던져 일제의 간담을 서늘케 하였다.

선생에 대한 재판은 상고심까지 진행되었으나 일제는 의거의 파장을 최소화하기 위해 재판을 속전속결로 진행하였고, 확정 판결 한 달 보름 만에 대구감옥에서 사형을 집행하였다. 선생의 의거는 항일 민심과 독립운동 진영을 고무시켜 김익상의 조선총독부 투탄으로 이어졌다. 정부는 선생의 드높은 독립운동 공적을 기리어 1963년 건국훈장 독립장을 추서하였다.

캐나다군 제임스 R. 스톤 중령, 가평의 전설로 남다

국가보훈처는 ‘제임스 R. 스톤’ 중령을 12월의 6·25전쟁 호국영웅으로 선정하였다. 스톤 중령은 1950년 12월 18일 캐나다군 최초로 장교 44명, 사병 873명으로 편성된 경보병연대 제2대대를 이끌고 부산항에 도착했다. 선발대로 참전한 경보병연대 제2대대는 대대장 스톤 중령의 지휘 아래 곧바로 경남 밀양천 둔치에 캠프를 설치, 현지 적응 훈련과 함께 전투에 참여하였다.

한국땅을 밟은 캐나다군에게 스톤 중령은 전설적인 인물이었다. 제2차 세계대전에 참전한 바 있었던 스톤은 6·25전쟁이 터지자 자유민주주의를 수호하고자 했던 평소의 신념대로 한국에 자원하게 된다. 이러한 그의 신념은 그의 부대에도 그대로 전파되어 당시 한국전에 참전한 영연방 군대 내에서 최고의 용맹성을 갖춘 부대로 재탄생하게 된다.

특히 1951년 4월 중공군의 인해전술에 맞서 밤낮을 가리지 않고 사투를 벌여 대승을 이뤄낸 가평전투는 한국전에서 가장 빛나는 전공 중의 하나로 기록되고 있다. 백병전까지 치러가며 중공군을 몰아냈던 스톤 중령과 그의 경보병연대 제2대대는 오늘날 가평의 전설로 불리며 기억되고 있다.



댓글 0개

의견을 남겨주세요

댓글을 달기 위해서는 로그인 해야 합니다.

좋아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