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달의 인물 | 조지 애쉬모어 피치, 김 신 2018년 1월호
이달의 인물
조지 애쉬모어 피치, 김 신
조지 애쉬모어 피치, 일본의 만행 전 세계에 알리다
국가보훈처(처장 피우진)는 광복회, 독립기념관과 공동으로 조지 애쉬모어 피치(George Ashmore Fitch, 1883. 1. 23.∼1979. 1. 20.) 선생을 2018년 1월의 독립운동가로 선정하였다. 선생은 중국에서 활동하던 목사 조지 필드 피치의 넷째로 태어나 우스터대학, 콜럼비아대 연합신학대학원 졸업 후 장로교 목사로 상하이에서 활동했다.
선생은 1909년 여운형에게 주중 미국대사를 소개시켜주었고, 1919년 미국 한인구제회, 상하이 한인학교 ‘인성학교’ 모금활동을 지원, 1932년 윤봉길 의거 시 일본 경찰에 쫓기던 김구 등을 도왔으며 이후 프랑스 언론과 경찰에 서한을 보내 일본 경찰의 불법 행위에 항의하는 등 독립운동을 직접적으로 지원했다.
1937년 난징대학살 당시 선생은 국제위원회를 조직해 전 세계에 일본의 침략상을 알렸다. 1941년 부인 제랄딘과 미국에서 조직된 한·미협회 및 한국기독교인친한회에 가입했고, 특히 제랄딘은 미국에서 한·미협회 후견인으로 대한민국 임시정부 승인을 위해 정부와 여론을 향한 외교 활동에 나섰다.
1947년 애쉬모어 부부는 한국을 방문, 1950년 한국전쟁 중에는 구호 활동에 앞장섰고, 이에 1952년 1월 정부로부터 문화공로훈장을 수여받았다. 정부는 1968년 선생에게 건국훈장 독립장을 수여하였다.
대공포 뚫고 승호리철교 폭파 성공 … 김 신 중장
국가보훈처는 김신 공군 중장을 1월의 전쟁영웅으로 선정하였다. 김신 중장은 한국전쟁 발발 당시 유일하게 미국 측이 제의한 F-51 전투기 인수 조종사 선발 조건을 충족해 전투기 인수에 크게 기여했다. F-51 인수는 대한민국 공군의 본격적인 전투 임무 수행의 결정적 출발점이었다.
F-51을 인수해 7월 2일 귀국한 김신 중장은 조국의 위급상황에서 7월 3일부터 전투에 출격해 묵호, 삼척 지구와 영등포, 노량진 지구 등에 상대 전력과 탄약저장소를 공격했다. 이후에도 지리산 공비토벌 작전, 대한민국 공군 단독출격 작전 등 전쟁 중 총 19회 출격하였다.
특히 제10전투비행전대장 재임 시 김 중장은 UN공군이 수차례 실패한 승호리철교 폭파 임무를 맡았다. 승호리철교는 평양 동쪽 10km 지점에 위치해 평남 중앙선이 지나는 대동강 지류인 남강에 설치된 철교로 군수물자를 중·동부 전선으로 수송하는 상대의 후방보급로 요충지였다.
2차 출격에도 임무에 실패하자 김신 중장은 지휘관 참모와 전술적 문제를 논의해 상대의 극심한 대공포화의 위협을 감수하고라도 고도를 강하하여 폭탄을 투하하는 공격전술을 창안했으며, 1952년 1월 15일에 마침내 승호리철교 폭파 임무를 성공적으로 완수하였다.
댓글 0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