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달의 인물 | 김규면, 마리누스 덴 오우덴 2018년 2월호
2월의 인물
김규면, 마리누스 덴 오우덴
김규면, 이념으로 분열된 힘 독립운동에 모으다
국가보훈처는 광복회, 독립기념관과 공동으로 김규면(金圭冕, 1880. 3. 12.∼1969. 2. 2.) 선생을 2018년 2월의 독립운동가로 선정했다. 선생은 1880년 함북 경흥 출생, 서울 한성사범학교와 육군무관학교를 졸업하였지만 제국주의 정책으로 교원과 무관의 꿈을 이룰 수는 없었다.
이후 선생은 원산으로 이주, 선교사 펜윅을 만나 기독교에 입문하고 선교사로 활동하였다. 1907년 훈춘으로 망명해 전도사로 활동하며 국내의 서북학회와 비밀결사 신민회 등에 가입하였다. 1915년 조선총독부의 포교규칙 공포에 선생은 대한기독교회를 탈퇴하고 ‘대한성리교회’를 만들어 복음서를 판매해 독립운동 자금을 모았고, 연해주와 만주 지역 독립운동 세력과 연대하였다.
1918년에는 일본군의 시베리아 침공에 맞서 대한성리교회 교도들이 중심이 된 ‘대한신민단’을 창설, ‘조국의 완전독립’과 ‘민족의 대동단결’을 주문하였고 1919년 5월에는 ‘창해청년단’이 일제에 매수된 마적들과 전투를 벌이자 군수품과 인력을 조달하였다.
1922년에는 러시아 당국에 의해 한인 무장부대가 해산되자 중국으로 건너가 ‘상해청년동맹회’을 조직하고 잡지 <한인청년>을 출판했다. 이후 선생은 1925년 ‘사회주의자동맹’을 조직해 민족주의와 사회주의로 갈라선 독립운동의 힘을 하나로 모으기 위해 힘썼고, 1927년 장제스가 사회주의자를 탄압하자 연해주로 돌아왔다. 정부는 2002년 김규면 선생에게 건국훈장 독립장을 수여하였다.
라운드업 작전으로 반격의 기회를! 오우덴 중령
국가보훈처는 ‘마리누스 덴 오우덴’ 네덜란드 육군 중령을 2월의 전쟁영웅으로 선정하였다. 중령은 네덜란드 왕립 육군사관학교 졸업 후 1932년 7월 네덜란드 왕립 육군 소위로 임관하여 수많은 전투를 치른 후, 1950년 6월 한국전 참전 UN군 네덜란드 대대에 자원하였다. 1950년 10월 21일 중령은 당시 소령으로 네덜란드 대대의 지휘관 임명을 받고, 1척의 구축함과 총 5,322명의 파병 부대와 함께 10월 한국으로 출발, 11월 부산항에 도착하였다.
오우덴 중령과 그의 대대는 전선의 급박한 상황으로 부산에 도착한 지 1주일 만에 전선으로 파견되었으며, 12월 중순 미군 2사단 38연대에 배속되어 전선 후방을 공격하는 북한군과 중공군을 방어하는 작전을 수행하였다.
또한 중령의 대대는 1951년 2월 5일 북한군과 중공군을 북쪽으로 밀어내기 위한 ‘라운드업 작전’에 참여하였다. 하지만 2월 11일 북한군과 중공군은 대대적인 반격을 개시하였으며, 홍천~횡성 간 도로에서 벌어진 치열한 전투 끝에 큰 피해를 입으며 후퇴하는 국군을 엄호하였다. 이 전투에서 오우덴 중령을 포함하여 15명이 전사하였다. 그러나 중공군의 공세를 저지하고 유엔군은 반격의 기회를 갖게 됨으로써 이후 전쟁의 양상을 크게 바꾸어 놓는데 기여하였다.
댓글 0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