외신읽기 | White House defends its North Korea strategy 2012년 5월호
외신읽기
The Washington Post l William Wan and Chico Harlan l April 10, 2012
White House defends its North Korea strategy
<워싱턴포스트> | 윌리엄 완, 치코 할랜 | 2012년 4월 10일
백악관, 대북전략을 변호하다
The Obama administration on Monday defended its decision to negotiate with North Korea as the reclusive regime prepared for a long-range rocket launch and a possible nuclear bomb test – two actions that fly in the face of the deal the United States struck recently with leaders there.
지난 월요일 오바마 행정부는 은둔 정권 북한과 협상하기로 했던 결정에 대해 변호하고 나섰다. 장거리 로켓발사를 비롯해 추후 북한이 준비할 수도 있는 핵실험은 최근 미국이 북한 지도층과 이루어낸 합의에 위반된다.
With fresh evidence released by South Korean intelligence on Sunday suggesting that the North plans an underground nuclear test, U.S. officials who began the year with tentative optimism about their engagement with Pyongyang are instead scrambling to find ways to express their disapproval of an already heavily sanctioned government.
한국발 첩보에 의해 북한이 지하 핵실험을 계획하고 있음을 시사하는 증거가 나오자 올 초 대북 관여정책에 잠정적인 낙관론을 가지고 있던 미국 관료들은 이미 심각한 제재를 받고 있는 북한 정부에 또 어떤 방식으로 반감을 표현해야 할지 방법을 찾느라 허둥대고 있다.
Critics say that by striking a deal in February to provide food aid in return for a ban on missile and nuclear tests, President Obama did more harm than good. Once the rocket is launched, North Koreans could use the ensuing condemnation from the United States and other countries to justify an action such as a nuclear test as retaliation.
비평가들은 지난 2월 오바마 대통령이 미사일과 핵실험을 금하는 대가로 식량지원을 제공하기로 타협한 것이 백해무익하다고 말한다. 로켓이 일단 발사되면 북한은 미국을 비롯한 다른 국가들의 잇따른 비난을 이용해 보복행위로서 핵실험과 같은 행위를 정당화할 수 있기 때문이다.
Obama administration officials, however, argued that their deal with North Korea was a necessary, deliberate test to probe how serious North Korea? new leader, Kim Jong Eun, is about reaching a detente with Washington and resuming talks on denuclearization. For two years, the Obama administration held firm to its position of refusing to talk to North Korea until it demonstrated its seriousness by adhering to previous commitments. The United States resumed engagement in recent months because the North indicated it might be willing to agree to a moratorium on nuclear and missile tests.
하지만 오바마 행정부 관료들은 북·미관계 개선 및 비핵화 회담 재개에 대한 북한의 새 지도자 김정은의 진정성을 탐색하기 위해서는 북한과의 합의가 필수적이고 고의적인 시험이었다고 주장한다. 지난 2년간 오바마 행정부는 북한이 이전에 했던 약속을 이행함으로써 진정성을 보여줄 때까지 북한과의 대화를 거부한다는 입장을 고수했다. 그러다가 최근 북한이 미사일과 핵실험 중단에 동의할 의향이 있음을 내비쳤기 때문에 관여정책을 재개한 것이었다.
댓글 0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