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장 속으로! | 제주 추자중학교 “통일염원 메아리 돈대산 정상에 울려터지다!” 2012년 10월호
현장 속으로!
제주 추자중학교 “통일염원 메아리 돈대산 정상에 울려터지다!”
본교는 지리적으로 휴전선과 먼 거리에 있는 섬 속의 ‘섬’이라는 지리적 특성을 갖고 있지만, 이곳 추자도에도 무장공비 침투로 많은 사람들이 목숨을 잃었고 이분들이 잠들어 있는 충혼묘지와 그 당시 상황을 생생히 보여주는 반공탑, 이를 기억하는 사람들도 있어 분단의 아픔과 폐해를 느끼고 있다.
그리고 지난 2011학년도에 ‘통일교육 체험활동을 통한 통일의식 함양’이란 주제로 통일교육 시범학교를 1년간 운영한 결과 북한사회와 통일에 관심을 갖는 학생이 증가하였고, 통일에 대해 적극적인 자세를 기르는 데 도움이 되었다.
통일염원 돈대산 트레킹 체험
이에 본교에서는 2012학년도에도 통일교육 시범학교 운영을 통해 IPTV 콘텐츠를 활용한 통일교육과 보고 듣고 느낄 수 있는 현장체험학습으로 통일의 당위성을 인식하고 통일에 대비하는 자세와 마음가짐을 길러 올바른 통일의식을 함양하고 있다.
본교의 통일교육 시범학교 운영은 미래사회의 주역이 될 학생들이 통일문제에 대한 관심과 북한 사회를 이해하는 태도를 갖도록 하기 위해서 학생들의 눈높이에 맞는 활동을 통해 통일의식을 함양하는 데 목적이 있으며, 도서지역의 소규모 학교 특성에 맞게 관련교과와 현장체험 중심의 프로그램으로 구성되어 있다.
그 구체적인 내용은 다음과 같다.
지난 4월 9일부터는 월, 수, 금요일에 학교 뒤에 있는 돈대산에 트레킹하며 “통일염원의 메아리 돈대산 정상에 울려터지다!”란 구호로 돈대산을 정복하고 그에 따른 성취감을 통일의식 함양으로 승화시키고 있다. 돈대산에서 학생회장이 “우리의 소원은”하고 말하면 전교생이 동시에 “통일”로 화답한다. 이렇게 3번 통일을 염원하고, 심신을 수련하며 통일의식을 내면화한다.
한편 통일문제와 북한관련 정보 검색을 통해 통일에 대한 관심을 유발하고 북한 사회를 좀 더 객관적으로 이해시키기 위해 통일정보 검색대회를 실시했다. 또한 자유민주주의를 지키기 위해 목숨을 바친 분들의 거룩한 희생의 뜻을 교훈삼아 안보의식과 평화통일 의지를 이어받기 위해 전교생을 대상으로 하는 통일체험 학습을 지난 5월 10일부터 12일까지 실시했다.
4·3평화공원, 항파두리(항몽유적지), 충혼탑, 알뜨르 비행장, 백조일손비, 송악산 진지동굴 견학 등 조국을 지킨 선조들의 아픔을 느낄 수 있는 역사적인 장소를 견학하여 학생들에게 우리나라의 현실을 이해하고 평화통일을 하는 데 적극적인 자세를 갖도록 하였다.
1인 1개의 통일체험 포트폴리오 작성
지난 6월에는 호국보훈의 달을 맞이하여 통일 문예행사를 개최, 학생들이 가지고 있는 남북한에 대한 이해 정도 및 통일에 대한 인식을 다양하고 창의적인 방법으로 표현함으로써 건전한 통일 안보관 확립의 기틀이 다져질 수 있도록 하였다. 여름방학 동안에는 통일을 염원하며 통일이나 북한에 대한 신문 기사를 스크랩하거나 그림, 만화, 글로 표현하여 자신들이 가장 자신 있게 잘 하는 것으로 통일신문을 제작하였으며, 포트폴리오로 홈페이지에 올리기도 했다.
특히 스포츠 정신의 육성과 협동심 함양 속에 통일의식을 고취하고, 통일을 염원하는 마음을 담아 평화팀, 통일팀으로 구성하여 남한과 북한이 하나되는 의미를 되새기는 기회로 ‘통일 한마당축제’를 개최했다. 또한 통일시대의 주역이 될 학생들이 통일이나 남북문제에 대해 성급한 판단이나 편중된 시각을 갖지 않고, 북한사회에 대한 객관적이고 정확한 이해로 올바른 통일관을 가질 수 있도록 통일 퀴즈대회를 가졌다.
마지막으로 ‘IPTV 콘텐츠 활용을 통한 통일의식 함양’이란 주제로 시범학교를 운영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를 기대해 볼 수 있다.
첫째, 학생들의 수준과 흥미를 고려한 IPTV 콘텐츠를 활용한 통일교육은 북한사회와 통일에 대한 관심을 갖는데 도움이 될 것이다.
둘째, 관련교과 활동과 창의적 체험활동 시간을 통해 실시된 통일교육은 학생들이 북한 현실 및 통일 문제를 깊이 있게 생각하고 체계적으로 이해할 수 있게 하는 데 많은 도움이 될 것이다.
셋째, 보고 듣고 느끼는 통일교육 체험활동을 통하여 직접 참여하고 체험함으로써 통일문제에 대한 학생들의 관심도가 높아질 것이고, 북한사회를 이해하고 통일에 대한 관심은 물론 적극적인 자세를 기르는 데 도움이 될 것이다.
넷째, 학생 한 명당 1개의 통일 체험 포트폴리오 작성은 교육과정과 관련된 교과활동 및 특별활동, 창의적 체험활동, 창의적 재량활동 시간에 통일 및 북한 관련 행사 및 현장학습을 통해 체험한 내용이나 사진, 그림, 소감문 등을 학교홈페이지에 올려 포트폴리오를 작성해 봄으로써 통일에 대한 관심과 북한 이해도를 높여줄 것이다.
정리 / 김자현 교사
댓글 0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