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달의 인물 | 김원벽, 현시학 2018년 3월호
3월의 인물
김원벽, 현시학
김원벽, 학생대표 모아 독립만세운동 진두지휘
국가보훈처(처장 피우진)는 광복회, 독립기념관과 공동으로 김원벽(金元壁, 1894. 5. 26.~1928. 4. 12.) 선생을 2018년 3월의 독립운동가로 선정하였다고 밝혔다. 선생은 황해도 은율에서 목사의 아들로 태어나 어려서부터 기독교 교육을 받았으며, 경신학교를 거쳐 숭실전문학교에서 1년간 수학하다가 연희전문학교로 진학하였다.
1919년 2월 22일에 선생은 기독교 측의 박희도와 이갑성 등으로부터 보성법률상업학교 학생 강기덕, 경성의학전문학교 학생 한위건과 함께 민족독립운동 대열에 동참하도록 권유받자 흔쾌히 응낙하였다. 이후 손병희로부터 3월 1일 독립선언식을 탑골공원에서 개최하기로 하였다는 연락을 받고 2월 25일 정동교회 내의 이필주의 집에서 학생대표들을 소집, 각 전문학교와 중학생들을 3월 1일 오후 2시까지 탑골공원에 집합시켜 민족대표들과 연합하여 독립만세운동을 하기로 결의하였다.
3월 1일 김원벽 선생은 강기덕 등과 함께 군중을 지휘하며 동쪽과 서쪽으로 독립만세운동 행진을 하다가 일본 경찰과 헌병의 제지를 받았으나 오후 늦게까지 만세운동을 하였다. 또한 3월 5일 독립만세운동에서는 강기덕 등과 함께 ‘대한독립만세’라고 쓴 큰 깃발을 들고 시위 군중을 지휘하였고, 이때 출동한 일본 경찰에 잡혀 2년간 옥고를 치렀다. 정부는 1962년 김원벽 선생에게 건국훈장 독립장을 수여하였다.
정교한 함포사격의 백전노장, 현시학 해군 소장
국가보훈처는 현시학 해군 소장을 3월의 전쟁영웅으로 선정하였다. 현 소장은 한국전쟁 당시 소령으로 PC-703함(삼각산) 부장 직책 수행 중 서해안 봉쇄작전에서 1950년 7월 27일, 옹진 방면으로부터 남하 중인 북한 수송선단 12척을 PC-702함(금강산)과 협동하여 격퇴하였다.
또한 1950년 8월에는 고성으로부터 통영으로 진출하려는 북한군에 정교한 함포사격을 가하여 공격을 차단함과 동시에 통영을 수복하기 위한 아군 해병대의 통영상륙작전 전승에 크게 기여하였다.
현 소장은 PC-704함(지리산) 함장 임무 중 1951년 1월에는 황해도 월사리에서 피난민 5천여 명을 구출하여 백령도로 이송하였고, 황해도 지구에 대한 아군 유격대 작전과 피난민 구출작전을 위해서는 함포사격 및 구호품을 지원함으로써 북한군의 해안 및 도서 진출과 중공군의 남침을 저지하였다.
현 소장은 한국전쟁 기간 동안 지상작전 지원과 피난민 철수에 지대한 공을 세움으로써 을지무공훈장(1952)을 수여받았으며, 전쟁이 끝난 후에는 1전단 사령관, 함대사령관, 해군사관학교 교장 등을 역임하였다. 소장은 한국전쟁 당시 충무공의 뜻을 이은 후예로 조국의 바다를 수호하는 해군의 정신을 유감없이 발휘하며 후대에 귀감이 되었다.
댓글 0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