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세히보기 2015년 8월 1일 0

이달의 책 | 아일랜드 평화프로세스 外 2015년 8월호

이달의 책

아일랜드 평화프로세스

<아일랜드 평화프로세스>는 그동안 우리에게 익숙한 독일통일 사례와는 다른 각도에서 새로운 통일 방안을 제안하고 있다. 저자는 아일랜드의 평화를 위한 작업이 오래 전부터 계속되어 왔으며, 아일랜드의 통일이나 연합, 연방 형식의 갈등 봉합의지는 분단 시점의 한반도 상황과 닮아 있다고 바라본다. 이에 따라 북아일랜드 사례를 통해 보다 안전하고 바람직한 통일, 혹은 평화 추구의 방향을 제시하는 데 주력하고 있다. 아일랜드 내 평화구축 과정을 제대로 이해하기 위해 갈등의 기원과 구조부터 아일랜드의 역사, 사회, 문화, 생활 등을 그 근원부터 파악할 수 있도록 아일랜드 전반의 배경을 제공한다. 현대에 분단과 통일을 경험하거나 경험 중인 국가들 가운데에서도 보편타당한 통일과 화합의 방식을 모색하는 아일랜드 모델을 살펴봄으로써 한반도가 나아갈 길을 개척하는 데 시사점을 얻을 수 있다. 김정노 | 늘품플러스 | 16,000원

 

북한 지식재산권 제도의 이해

그동안 북한의 지식재산권과 관련해서 각계 전문가들이 다양한 측면에서 연구 분석을 시도해 왔으나, 아직도 북한의 지식재산권 제도의 이해는 난해한 과제로 꼽히고 있다. 저자는 북한사회도 발명, 특허, 공업도안, 상표, 저작물에 대한 법적 권리 행사와 보호가 제도화되어 있으며, 분단의 장기화로 인한 지식재산권에 대한 기본적 인식과 용어의 차이, 다른 체제에 따른 산업구조의 시스템 및 과학기술 격차로 지식재산권의 통합이 이제 단순한 문제로 바라볼 시점이 아니라는 점을 지적하고 있다. 이 책은 남북 지식재산권 통합에 관심을 갖고 있는 전문가뿐만 아니라 북한 지식재산권을 처음 접하는 신진연구자와 일반인에게도 필요한 기본적인 내용을 제공하고 있다. 최은석·허인 | 신론사 | 21,000원

남북 통일경제론

저자는 기초적 신뢰구축, 경협 전면화, 통일경제로의 진입이라는 남북 통일경제 3단계 발전 전략을 제시한다. 또 통일경제는 무역과 내수의 균형, 한반도 내 분업구조 고도화를 기본전략으로 하는 상생의 번영 방안이라 역설한다. 통일경제의 필요성과 기대효과, 실현을 위한 과제와 방법을 고민하고 있는 이 책은 <한반도 평화체제론>, <남북 연합연방제 통일론>과 함께 ‘평화통일교육총서’ 3권으로 구성됐다. 김성훈 | 리아트 | 15,000원

무엇이 북한을 부패하게 했는가

북한의 비사회주의 현상인 ‘부패’가 정치·경제의 제도적 환경에 기인한다는 가설 하에 M. Johnston의 부패 유형을 기초로 하는 분석틀을 통해 북한의 부패를 분석하였다. 저자는 북한의 부패는 제도적 환경에 의해 변화의 동력을 얻고 국가 재정 부족으로 인한 국가의 역할을 북한 주민 스스로 해결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함으로써 북한 사회와 주민들의 의식 변화를 선도한다는 결론을 도출하고 있다. 이근영 | 선인 | 26,000원

남북 공동 초등학교

통일 후 교육적인 문제점을 분석하기 위해 자유의 마을에 통일 시범학교가 세워진다. 언어, 학교생활, 가정생활 등 오랫동안 엇갈려 살아온 탓에 서로 다른 것들이 많이 생겼지만 순수한 마음만은 꼭 같은 남북한 아이들. 이들이 함께 뛰노는 가상의 공간 ‘남북 공동 초등학교’에서 일어나는 일들을 재미있게 그려냈다. 이념과 사상을 뛰어넘는 아이들의 순수한 우정을 통해 진정한 화합과 통일의 의미를 되새기게 한다. 신천희 | 파랑새어린이 | 9,500원



댓글 0개

의견을 남겨주세요

댓글을 달기 위해서는 로그인 해야 합니다.

좋아요 0